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99

한국어 우리말공부 : 순화어 '노견-갓길, 골 세리머니 - 골 뒤풀이, 팝업창-알림창, 리플-댓글, 보이스피싱-사기전화'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단어 위주로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순화어 '노견-갓길, 골 세리머니 - 골 뒤풀이, 팝업창-알림창, 리플-댓글, 보이스피싱-사기전화'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노견-갓길' Q. 예전에 '노견'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에 대한 순화어는 어떻게 될까요? A. 고속도로를 가다 보면 고장 난 차를 세워 두거나 소방차, 경찰차가 다닐 수 있도록 도로 곁에 이어져 있는 길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얼마 전만 해도 '노견(路肩)'이라고 부르던 것입니다. 이 말은 일본에서 건너온 말입니다. 영어로 '(road) shoulder'라고 하는 것을 일본 사람들이 한자로 옮겨 만든 것입니다. 이 말은 일본에서 들어왔을 .. 2023. 7. 11.
한국어 우리말공부 : '워킹홀리데이-관광취업, 클리어런스 세일-재고판매, 시말서-경위서, 시마이-마감, 아나고-붕장어'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 주 부터는 우리말로 순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오늘은 "워킹홀리데이-관광취업, 클리어런스 세일-재고판매, 시말서-경위서, 시마이-마감, 아나고-붕장어"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워킹홀리데이-관광취업' Q. '워킹홀리데이'를 우리말로 어떻게 바꿀까요? A. 외국으로 워킹홀리데이를 꿈꾸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일도 하면서 회화 공부도 하고, 휴일에는 관광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실제 삶은 어떤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방송에서 호주의 워킹홀리데이의 생활을 소개하는 것도 나오고 있고요. '워킹홀리데이터(working holiday)'는 국가 간 비자 협정을 통해 상대국에서 관광과 취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제도를 .. 2023. 7. 10.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남북한 표현차이 '외지다, 긴장하다, 끼다, 동무, 인사말'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북한말과 남한말에 대한 비교를 해 보았습니다. 일주일 간의 글을 보면서 남북으로 갈라진 시간이 길어서 생소한 느낌도 있으면서, 북한말이 외국어에 있어서는 우리말을 최대한 살려서 표현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남북한 표현차이 '외지다, 긴장하다, 끼다, 동무, 인사말'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외지다-마음이 꼬이다 ' Q. 남북한의 '외지다'는 어떻게 다를까요? A. 남한에서 '외지다'는 '따로 떨어져 있어 으슥하고 후미지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그래서 "인적 없는 외진 길을 걸어가려니 조금 무서웠다."처럼 씁니다. 이에 반해 북한에서 '외지다'는 '마음이 틀어지거나 꼬이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심보가 외지다."처럼 씁니다. 이 외.. 2023. 7. 9.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북한말 ‘살까기-다이어트, 동강치마-미니스커트, 실양말-스타킹, 배경대-카드 섹션, 뼈어김-탈구' 한국어 우리말 공부 중 남한말과 북한말의 차이를 배워 봅니다. 오늘은 북한말'살까기-다이어트, 동강치마-미니스커트, 실양말-스타킹, 배경대-카드 섹션, 뼈어김-탈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북한말 '살까기-다이어트' Q. 북한말 '살까기'는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다이어트'를 북한에서는 '살까기'라고 부릅니다. 이 단어는 몇 년 전 '사랑의 불시착'이라는 드라마에서 들으면서도 참신하다고 느꼈던 단어였습니다. 영어의 'diet'는 식이요법이라는 뜻이지만 외래어로서 '다이어트'로 쓰여지고 있습니다. 이를 북한에서는 우리말을 잘 살려서 '살까기'라고 표현하고 있네요 우리말 공부 : 북한말 '동강치마-미니스커트' Q. 북한말 '동강치마'는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미니스커트'를 북.. 2023. 7. 8.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북한말 ‘나비헤염-접영, 피형-혈액형, 이쏘기-치통, 댕기운동-리본 체조, 첫날옷-웨딩드레스’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북한말 공부입니다. 남한과 북한에서 일상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오늘은 북한말 "나비헤염-접영, 피형-혈액형, 이쏘기-치통, 댕기운동-리본 체조, 첫날옷-웨딩드레스"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북한말 '나비헤염-접영' Q. 북한말 '나비헤염'은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접영'을 북한에서는 '나비헤염'이라고 부릅니다. 수영과 관련한 말 중, '헤엄'은 북한말로 '헤염'이며, '수중 발레'는 '예술헤염'이라고 합니다. 또한 '평영'은 북한식 표기로 '가슴헤염', '배영'은 '누운헤염' 이라고 한답니다. 역시나 웃으면서 읽게 됩니다 우리말 공부 : 북한말 '피형-혈액형' Q. 북한말 '피형'은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혈액형'을 북한에서.. 2023. 7. 7.
한국어 우리말공부 : 북한말 '잠약-수면제, 다층살림집-아파트, 도르래-바람개비, 신사, 덧머리-가발'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북한말 시리즐로 해 보려고 합니다. 다른 듯 하지만 이해가 잘 되는 단어들이 많아서 이번에 배워봅니다. "북한말 '잠약-수면제, 다층살림집-아파트, 도르래-바람개비, 신사, 덧머리-가발'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북한말 잠약-수면제' Q. 북한말 '잠약'은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수면제'를 북한에서는 ‘잠약’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 밖에 약과 관련한 말 중, 북한에서는 '방부제'를 '썩음막이약'이라고 하며, '제초제'를 '풀약', '지혈제'는 '피멎이약' , 남한말보다는 훨씬 더 이해가 잘 되는 말인거 같기도 합니다 우리말 공부 : '북한말 다층살림집-아파트' Q. 북한말 '다층살림집'은 무슨 뜻일까요? A. 남한의 '아파트'를 북한에서는 '.. 2023.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