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99

한국어 우리말공부 : 맞춤법 '왠만하면-웬만하면, 왠지-웬지, 오랫동안, 오랜만-오랫만, 왼종일-온종일' 한국어 우리말 공부. 한글에서 맞춤법이 헷갈리는 것들에 대한 공부를 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왠만하면-웬만하면, 왠지-웬지, 오랫동안, 오랜만-오랫만, 왼종일-온종일'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왠만하면-웬만하면' Q. 왠만하면? 웬만하면? 무엇이 맞을까요? A. '웬만하면'이 맞습니다. '웬만하다'가 맞으며 '왠만하다(X)'는 틀린 표기입니다. 두 단어의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이 쓸 때도 헷갈려 하는데요. 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을 알려 드리면, '왜'의 형태가 나타나는 단어는 '왠지'처럼 '까닭을 나타내는 단어' '왜'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웬만하다'처럼 '왜'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대부분 '웬'으로 표기합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2023. 7. 29.
한국어 우리말공부 : '운명-유명, 별세, 좇다-쫓다, 동호회-동우회, 눈초리-눈꼬리, 잎새-잎사귀' 한국어 우리말 공부, 시작하기에 앞서 퀴즈로 재미있게 풀어보시겠습니까. 우리말 퀴즈 풀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오늘은 '운명-유명, 별세, 좇다-쫓다, 동호회-동우회, 눈초리-눈꼬리, 잎새-잎사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매일매일 조금씩 우리말 실력 늘려 보시지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운명-유명-별세'의 차이점 Q. '운명을 달리하다'라는 말에서 '운명' 어떤 한자를 쓸까요? A. '사람의 목숨이 끊어짐'을 뜻하는 '운명'의 원어는 '殞命'이며, 이 운명은 운명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그리고 저승과 이승을 아울러 이르는 '유명(幽明)이 쓰인 '유명을 달리하다'는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관용구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부고 문자를 받을 때 "000의 부친 사망(별세)" 사망이라는 말은 조금 예의에 어.. 2023. 7. 28.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알갱이-알맹이, 실업자-실업가, 엉기다-엉키다, 꼬리-꽁지-꽁무니, 줄도산-줄사표' 한국어 우리말 공부, 시작하기에 앞서 퀴즈로 재미있게 풀어보시겠습니까. 속담 퀴즈 풀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오늘은 '알갱이-알맹이, 실업자-실업가, 엉기다-엉키다, 꼬리-꽁지-꽁무니, 줄도산-줄사표' 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매일매일 조금씩 우리말 실력 늘려 보시지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알갱이-알맹이'의 차이 Q. 알갱이? 알맹이? 어떻게 다를까요? A. 알갱이와 알맹이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옥수수 알갱이를 하나씩 떼어 먹었다."처럼 '알갱이'는 '열매나 곡식 따위의 낱알'을 의미합니다. 주로 '하나씩 따로따로인 알'을 가리킵니다. 이와 달리 '알맹이'는 '물건의 껍데기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 부분'을 의미합니다. "껍데기에서 굴 알맹이를 빼 먹었다."처럼 씁니다. 다만 포.. 2023. 7. 27.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밭뙈기-밭떼기, 너비-넓이, 먹먹하다-멍멍하다, 식혜-식해, 복구-복원' 차이점 한국어 우리말 공부, 시작하기에 앞서 퀴즈로 재미있게 풀어보시겠습니까. 우리말 퀴즈 풀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오늘은 "밭뙈기-밭떼기, 너비-넓이, 먹먹하다-멍멍하다, 식혜-식해, 복구-복원"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매일매일 조금씩 우리말 실력 늘려 보시지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밭뙈기-밭떼기'의 차이점 Q. '밭뙈기-밭떼기' 단어의 뜻이 어떻게 다를까요? A. '밭뙈기'와 '밭떼기'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뒷마당에 있는 밭뙈기에 고추를 조금 심었다."처럼 쓸 때의 '밭뙈기'는 '얼마 안 되는 자그마한 밭'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이와 달리 '밭떼기'는 "밭떼기로 배추를 사서 판매를 할 예정이다." 와 같이 '밭에 나 있는 작물을 몽땅 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럼 손바닥만한 밭뙈.. 2023. 7. 26.
한국어 우리말 공부 : '풍진 세상, 땡잡다, 애먼사람-엄한사람, 머리-대가리, 기온-온도' 오늘 우리말 공부 하기 전 퀴즈로 공부를 대신해 볼까요 순우리말 퀴즈 풀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우리가 자주 쓰고 있는 단어의 뜻을 알아보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오늘은 '풍진 세상, 땡잡다, 애먼사람-엄한사람, 머리-대가리, 기온-온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풍진 세상'에서 풍진의 뜻 Q. '이 풍진 세상을 살다보니' 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풍진'의 뜻은 어떻게 될까요? A. '풍진(風塵)' 의 뜻으로 1) 바람에 날리는 티끌 2) 세상에서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이나 시련, 3) 싸움터에서 일어나는 티끌이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하여 어수선하고 어지러운 분위기 또는 그런 전쟁 통을 이르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2) 세상에서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이나 시련의 뜻.. 2023. 7. 25.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쇠뿔, 단김에 빼다, 무등-목말, 깨끔발, 빈대붙다-꼽사리끼다, 골망태-고주망태' 오늘도 우리말 공부 잘하고 계신가요. 퀴즈 풀면서 공부를 해보시면 어떤가요 우리말 퀴즈 풀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오랫동안 해 보지만 아직도 부족함이 많네요. 오늘은 '쇠뿔, 단김에 빼다, 무등-목말, 깨끔발, 빈대붙다-꼽사리끼다, 골망태-고주망태' 단어와 표현에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쇠뿔도 담김에 빼라' Q. '쇠뿔도 단김에 빼라'라는 말이 있는데, '단김'에 라는 단어는 어떤 뜻으로 쓰이는 것일까요? A. '쇠뿔'은 '소의 뿔'을 말합니다. 그리고 '단김'은 '달아올라 뜨거운 김'을 가리키는 말로, '단김을 내뿜다/펄펄 끓는 물에서 단김이 솟았다./기왓장에 볕이 비치어 천장으로부터 단김이 확확 내려온다'처럼 쓰입니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든든히 박힌 소의 뿔을 뽑으려면 불로 .. 2023.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