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99

한국어 우리말공부 : 'gossip, top(톱-탑), 초승달, 오누이, 오지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오늘은 'gossip, top(톱-탑), 초승달, 오누이, 오지다' 의 올바른 표기와 뜻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gossip'의 표기 Q. 'gossip'을 '고십-가십' 어떻게 표기를 해야 맞는 표현일까요? A.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개인의 사생활에 대하여 소문이나 험담 따위를 흥미 본위로 다룬 기사'를 뜻하는 gossip의 외래어 표기는 '가십'이라고 써야 합니다. 또한 참고로 '가십'을 우리말로 순화를 한다면 '촌평'으로 쓰면 좋겠습니다. '가십거리-뉴스거리'라는 단어보다는 '촌평' 으로 써야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 top(톱-탑)' Q. 정상, 꼭대기를 뜻하는 영어의 'top'는 어떻게 발음하고 써야 하나요? A. top를 '톱'으로 .. 2023. 7. 23.
한국어 우리말공부 : 외래어 '라면, 뷔페-부페, 사이다-사이더, 바비큐-바베큐, 알루미늄 호일 - 알루미늄 포일' 한국어 우리말 공부. 외래어에 대한 올바른 표기법을 배워볼까 합니다. 오늘은 외래어 '라면, 뷔페-부페, 사이다-사이더, 바비큐-바베큐, 알루미늄 호일 - 알루미늄 포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외래어 '라면' Q. '라면'도 외국어라는데 어원이 어떻게 되나요? A. '라면'은 중국어에서 차용된 말이라고 합니다. 중국어에서 새로운 말이 차용될 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중국음이 그대로, 곧 중국식 한자음이 그대로 국어에 들어오는 것이고, 둘째는 '전기(電氣)'처럼 새말이 한자와 더불어 들어오면서 우리나라의 한자음으로 읽히는 것입니다. '라면'이 두 번째의 방법대로 들어온 한자어였다면 두음 법칙에 따라 '나면'이라고 적어야 하겠지만 이 말은 한자어가 아니라 첫 번째의.. 2023. 7. 22.
한국어 우리말공부 : ‘고명딸, 단골, 가방, 미숫가루, 모둠’의 어원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 주는 우리말의 어원과 관련한 내용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원 '고명딸, 단골, 가방, 미숫가루, 모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고명딸'의 어원 Q. '고명딸'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A. '고명'은 음식 위에 올리는 고명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음식을 더 예쁘게 만들어 주는 고명처럼 '아들만 있는 집에서 예쁘게 있는 딸'이라는 의미로 '고명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이는 전남이나 평안 지역에서 고명딸을 양념딸이라고 부르는 데에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단어는 20세기 소설 등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하니 만들어진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단어인 것 같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단골'의 어원 Q. '단.. 2023. 7. 21.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어원 '고드름, 갈치, 미주알고주알, 난장판, 영감’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가 쓰는 말 중의 그 유래나 어원이 궁금한 단어들을 모아봤습니다. 오늘은 어원 '고드름, 갈치, 미주알고주알, 난장판, 영감’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고드름'의 어원 Q. '고드름'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A. '고드름'은 18세기 '곳어름'으로 쓰였는데요. 이 '곳어름'의 '곳'은 '곧다'라는 뜻이었고 '어름'은 '얼음'을 뜻합니다. 즉 '곳어름'은 본래 '곧게 언 얼음'이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세기 들어서 현재의 고드름이라는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고 하네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갈치'의 어원 ' Q.' 갈치'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A. '갈치'의 '갈'은 '칼(刀)'에서, '치'는 '고기 이름에 붙는 접미사 티'에서.. 2023. 7. 20.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어원 ‘황소, 소매치기, 고주망태, 건달, 노다지’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가 자주 쓰고 있는 단어의 어원, 유래에 대하여 궁금증을 풀어볼까 합니다. 오늘은 어원 '황소, 소매치기, 고주망태, 건달, 노다지'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황소'의 어원 Q. '황소'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A. '황소'는 15세기에 '한쇼'로 쓰였는데요. 이 '한쇼'의 '한'은 '크다의' 뜻을 가진 단어 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황소'는 본래 '큰 소'를 의미하는 말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 19세기 들어서 이 '큰 소'를 뜻하는 '한쇼'를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음이 비슷한 '누럴 황(黃)'을 가져와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황소'는 '누런 소'라기보다는 '큰 소'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합.. 2023. 7. 19.
한국어 우리말공부 : 어원 '감질나다, 하룻강아지, 바가지를 긁다, 고뿔, 부랴부랴'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 단어에 유래나 어원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원 '감질나다, 하룻강아지, 바가지를 긁다, 고뿔, 부랴부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감질나다'의 어원 Q. '감질나다'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A. '감질나다' 에서 '감질'은 '젖이나 음식 조절을 하지 못하여 어린아이에게 생기는 병'인 '감병(疳疾)' 이 변한 단어라고 합니다. 이 '감질'이라는 병에 걸리면 얼굴이 누렇게 뜨고 몸이 여위며 만성 소화 불량이나 영양 장애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 병의 주요 증상 중 하나는 배가 불러 끓고 소화 불량 상태이면서도 속이 헛헛하여 무언가를 계속 먹고 싶어지는 것입니다. 즉 식욕은 있는데 소화가 되지 않아 마음대로 먹지 못하게 되는..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