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우리말 공부 : 어원 '어린이, 인절미, 가래떡, 하느님, 숙맥, 벽창호'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에서 그 유래나 어원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해 볼까 합니다. 오늘은 '어린이, 인절미, 가래떡, 하느님, 숙맥, 벽창호'의 어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어린이'의 어원 Q. '어린이'라는 말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A. '어린이'는 17세기부터 써 온 말입니다. 중세 국어 '어리다'의 의미가 '어리석다(愚)'에서 '나이가 적다(幼)'로 변화하면서, '어리다'의 관형사형 '어린'에 의존 명사 '이'가 결합되어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방정환 선생이 1920년에 유년과 소년을 대접하고 남녀 유소년을 다 함께 부르기 위하여 '어린이'란 말을 새롭게 쓰기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원래의 '어린이'에 없었던 높임의 뜻이 있음을 강조하여 현재에까지 ..
2023. 7. 17.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백미러, 몸뻬, 야끼만두, 덴푸라, 짬뽕'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단어 위주로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순화어 '백미러-뒷거울, 몸뻬-일 바지, 야끼만두-군만두, 덴푸라-튀김, 짬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백미러-뒷거울' Q. 자동차에 달려서 뒤를 보는 역할을 하는 거울을 우리는 '백미러'라고 쓰는데, 영어에서는 'rearview mirror'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백미러는 콩글리쉬라고, 백미러라고 쓰지 말라는 말도 많더라고요. 그런데 국어원 사전을 검색하니까 '백미러'라는 말이 사전에 등재돼 있고, 사이드 미러라는 말도 있는데요, 그냥 '백미러' 또는 '사이드 미러'라고 써도 문법상 맞는 건가요? 그 거울을 어떻게 지칭하는 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A. 실제..
2023. 7. 16.
한국어 우리말공부 : 순화어 '아이쇼핑, 프로필-, 주인, 선팅, 프린트 셔츠'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단어 위주로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순화어 '아이쇼핑, 프로필-, 주인, 선팅, 프린트 셔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아이쇼핑-눈요기' Q. '아이쇼핑'의 순화어로는 무엇이 좋을까요? A.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것으로는 '눈요기' 라고 합니다. '눈길장보기'라는 말도 거론이 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눈요기'가 등록이 되었다고 합니다. 아이쇼핑, 눈길 장보기라는 말이 재밌게 느껴지네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프로필-인물평' Q. '프로필'의 순화어는 무엇일까요? A. '프로필 (profile)'은 '인물의 약력'을 뜻하는 말로 우리말로 순화한다면 '약평(略評), 인물 소개, 인물평'으..
2023. 7. 14.
한국어 우리말공부 : 순화어 "캠퍼스, 데빵, 에어캡, 나시, 풀옵션"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단어 위주로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순화어 "캠퍼스, 데빵, 에어캡, 나시, 풀옵션"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캠퍼스-교정" Q. 대학에서 '캠퍼스'라는 말을 자주 썼는데 우리말로 순화해 본다면 어떤 단어가 좋을까요? A. [표준국어대사전]은 '캠퍼스'의 순화어로 '교사(校舍)'와 '교정(校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배움터'도 사전에 실려 있지만, '지식이나 기술 따위를 배우는 곳'이라는 뜻이어서, '교사(校舍)', '교정(校庭)'에 비해 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학 캠퍼스'를 얘기한다면, '대학 교사'나 '대학 교정'이라는 단어를 쓰..
2023. 7. 13.
한국어 우리말공부 : 순화어 "스크린 도어, 파노라마 선루프, 투잡, 아르바이트, 파파라치"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번주는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단어 위주로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스크린 도어-안전문, 파노라마 선루프 - 전면 지붕창, 투잡-겹벌이, 아르바이트-부업, 파파라치-몰래제보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순화어 "스크린 도어-안전문" Q. '스크린 도어'를 우리말로 어떻게 바꿀까요? A. 지하철을 기다리다 보면, '스크린 도어가 열립니다/닫힙니다' 라는 안내 방송을 듣게 됩니다. '스크린 도어 (screen door)'는 '전동차가 다니는 선로와 승강장 사이를 차단하는 문'을 뜻하는데, 그 용도를 따져 본다면 '안전'을 위한 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안전문'으로 순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전문'은 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