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99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야반도주-야밤도주, 늘상-늘, 건데기-건더기, 메슥거리다-미식거리다, 으슬으슬-으실으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이어갑니다. 저 스스로가 잘못된 표현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이 많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오늘 배울 단어는 " 야반도주-야밤도주, 늘상-늘, 건데기-건더기, 메슥거리다-미식거리다, 으슬으슬-으실으실 "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야반도주-야밤도주' Q. 야반도주? 야밤도주? 무엇이 맞을까요? A. '야반도주'가 맞습니다. '야반도주(夜半逃走)'의 '반'은 '반 반(半)' 자입니다. 즉 '야반'이 한밤중을 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야반도주'가 맞고 '야밤도주'는 틀린 표기입니다. 일부 사람들이 '야반도주'의 '반'과 '밤'을 혼동하여 '야밤도주'로 잘못 표기하기도 하는데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말 공부 : '늘상-늘' Q. 늘상? 늘? 무엇이 맞을까요? A. '늘'이.. 2023. 6. 29.
한국어 우리말 공부 : 혈혈단신-홀홀단신, 엑기스, 술에 절다- 쩔다, 끗발-끝발, 다리다-달이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일상생활에서 잘못 알고 있거나 헷갈리는 단어 공부해 봅니다. 오늘은 "혈혈단신-홀홀단신, 엑기스, 술에 절다- 쩔다, 끗발-끝발, 다리다-달이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혈혈단신-홀홀단신' Q. '혈혈단신- 홀홀단신' 무엇이 맞을까요? A. '혈혈단신'이 맞습니다. '외로운 홀몸'을 뜻하는 '혈혈단신(孑孑單身)은 '외로울 혈(孑)'자를 씁니다. 따라서 '혈혈단신'이 맞고 '홀홀단신'은 틀린 표기입니다. '홀홀'은 '작은 날짐승 따위가 잇따라 날개를 치며 가볍게 나는 모양'을 뜻하고 있어서 '혼자'라는 뜻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홀홀단신'은 쓸 수 없습니다. 우리말 공부 : '엑기스' Q. '엑기스'를 우리말로 순화하여 부른다면 무엇이 될까요? A. '엑기스'라는.. 2023. 6. 28.
한국어 우리말공부 : "덤탱이-덤터기, 코빼기-코배기-콧배기, 영계백숙, 공박-반박-논박, 날름-낼름" 한국어 우리말공부 이어가봅니다. 일상생활에서 잘못 알고 있는 단어, 헷갈리는 단어들 위주로 정리를 해봅니다. 오늘은 " 덤탱이-덤터기, 코빼기-코배기-콧배기, 영계백숙, 공박-반박-논박, 날름-낼름"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덤탱이-덤터기' Q. '덤탱이-덤터기를 써서 억울하다' 와 같은 표현에서 '덤터기-텀탱이' 무엇이 맞을까요? A. '덤터기'가 맞습니다. '남에게 넘겨씌우거나, 남에게서 넘겨받은 허물이나 걱정거리',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나타내는 말로 '덤터기'를 씁니다. '덤탱이, 덤테기, 덤태기' 등은 틀린 표기입니다.'덤터기를 씌우다'처럼 쓰시면 되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코빼기-코배기-콧배기' Q. 코빼기? 코배기? 콧배기? 무엇이 맞을까요? A. '코빼기'가 맞습니.. 2023. 6. 27.
한국어 우리말공부 : 아내-마누라-와이프-처-여보, 딸내미-아들내미,호치키스,무뎃뽀,반드시-반듯이 한국어 공부, 우리말 공부, 많은 글들을 써 내려가며 많은 것을 배웁니다. 오늘은 "아내-마누라-와이프-처-여보, 딸내미-아들내미,호치키스,무뎃뽀,반드시-반듯이"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아내-마누라-와이프-처-여보' Q. '아내', '마누라', '와이프' , '여보' 라는 표현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A. 남에게 아내를 가리킬 때 '마누라'라고 하면 안 됩니다. '마누라'는 원래 높이는 말이었으나 문세영의 《조선어사전》(1938)에서 '늙은 노파'를 가리키거나 '안해(아내)의 속어'로 나와 아내를 가리키는 말로써의 품위를 잃어버렸다고 합니다. 남에게 아내를 가리켜 '마누라'라고 하는 것은 아내를 비하하는 느낌을 주므로 삼가야 할 일입니다. '여보'라는 표현은 부부 사이에 서로를 부를.. 2023. 6. 26.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봉오리-봉우리, 월남-베트남, 치킨게임, 스키야키-지리, 낙동강 오리알' 한국어 공부 , 우리말 공부 ,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외래어를 순화하는 말들을 배워봅니다. 오늘은 "봉오리-봉우리, 월남-베트남, 치킨게임, 스키야키-지리, 낙동강 오리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 봉오리-봉우리 ' Q. 봉오리? 봉우리? 어떻게 다를까요? A. '봉오리'와 '봉우리'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르다고 합니다. '봉오리'는 '탐스럽게 맺힌 봉오리' 처럼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않은 꽃을 뜻합니다. 이와 달리 '봉우리'는 '험난한 봉우리', '가장 높은 봉우리 세 개를 넘어야 한다.'처럼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을 뜻합니다. 그래서 '봉오리'는 '꽃봉오리'라고 쓸 수 있고, '봉우리'는 '산봉우리'라고도 쓸 수 있습니다 우리말 공부 : ' 월남-베트남 ' Q. '월남'.. 2023. 6. 25.
한국어 우리말공부 : '앳된 얼굴-애띤 얼굴, 밭트다, 자린고비, 엑스표-가위표, 말마따나' 한국어 공부, 우리말 공부 매일 같이 해 보고 계시지요. 오늘은 " 앳된 얼굴-애띤 얼굴, 밭트다, 자린고비, 엑스표-가위표, 말마따나 "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매일 하나씩이라도 배워 봅니다 우리말 공부 : '앳된 얼굴-애띤 얼굴' Q. '앳된 얼굴 - 애띤 얼굴' 무엇이 맞을까요? A. '앳된 얼굴'이 맞습니다. 애티가 있어 어려 보임을 뜻하는 '앳되다'를 '애띠다'로 잘못 쓰는 경우입니다. 애티를 뜻하는 '애'와 '되다'가 결합하여 '앳되다'가 되었으므로 '애띠다'라고 쓸 수 없습니다. 활용 예시로 '20년 전 사진 속 앳된 얼굴', 풋풋하고 '앳되던' 시절이 그리워집니다 우리말 공부 : ' 밭트다' Q. '시간이 너무 밭트다' 라는 말을 쓰시는 분이 있던데, '밭트다'의 뜻과 의 정확한 표기법.. 2023.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