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4

한글 우리말 공부 : "고객님, 그러므로-그럼으로, 덕분에-때문에-탓, 유월-시월, 직계존비속" 한글 우리말 공부를 통해 하나씩 배워 나감이 즐겁습니다. 오늘은 "고객님, 그러므로-그럼으로, 덕분에-때문에-탓, 유월-시월, 직계존비속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고객님' Q. 콜센터에 전화를 하면 "고객님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라고 바로 응답이 나오지요. 그리고 문자 등에서도 "고객님" 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고객이라는 단어에 '님'을 붙이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A. '고객님'에 쓰인 '님'은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이는 것입니다. '고객'이라는 자체의 뜻을 좀 알아보는 게 좋을 것 같은데, '고객'은 '물건을 사러오는 손님'이라는 뜻으로 어떠한 직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말이 아니.. 2023. 6. 7.
경제뉴스 부동산뉴스 헤드라인뉴스 오늘의뉴스 간추린뉴스 (6월 7일 수) 23년 6월 7일 수요일, 경제뉴스, 부동산 뉴스, 헤드라인 뉴스, 간추린 뉴스 등을 종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저기 있는 내용들을 모아서 전달해 봅니다 경제뉴스 ☞ 장례, 현생 인류서 시작된 거 아니였나 ...초기 인류 호모 날레디의 비밀...24만~50만년 초기 인류로...동굴 패인 곳에서 유골 흔적...뇌크기 현생 인류의 3분의1...복잡한 사고 가능성 제기...일각선 장례 아니다 반박 ☞ 비전이 별로다(?) MR 헤드셋 애플 시간 외 하락..... 테슬라 7거래일 연속 상승...5일 美 주요 지수 동반 하락...인텔 등 반도체 매도세 부각...테슬라, 판매 호조에 매수세 상승 ...애플 MR헤드셋 평가 엇갈려...사우디 감산 계획..... 유가 상승 ☞ 챗GPT는 일 잘하는 신입사원....... 2023. 6. 7.
경제뉴스 부동산뉴스 분야별뉴스 오늘의뉴스 매경뉴스 (6월 6일 화) 23년 6월 6일 화요일, 현충일 입니다. 경제뉴스, 부동산 뉴스, 분야별뉴스 등을 종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저기 있는 내용들을 모아서 전달해 봅니다 경제뉴스 경제/생활 ☞ 美 '1조弗 국채 발행' 추진....시장 유동성 블랙홀되나 1조 달러 이상의 막대한 국채를 단기간 내 발행하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고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규모 국채 발행에 따른 쇼크가 발생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 연준)의 금리 경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미국이 부채한도 문제를 해소하고 새로 국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되면서 채권 시장에 ‘쓰나미’가 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IMF 총재 “연준, 추가 금리인상 필요할 수도” 시간이 흘러보니 미국 은행들의 대출 축소 강도가 우려만큼 심하지 않고 고용 시장.. 2023. 6. 6.
한글 우리말공부 : 총각김치-알타리김치, 게양-계양, 풍비박산-풍지박산-풍지박살-만땅-엥꼬, 어이없다-어의없다-어처구니없다 한글 우리말 공부, 언제나 새롭고 즐겁네요. 오늘은 "총각김치-알타리김치, 게양-계양, 풍비박산-풍지박산-풍지박살-만땅-엥꼬, 어이없다-어의없다-어처구니없다"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총각김치-알타리김치' Q. 김치의 종류 중 '총각김치' 라는 것이 있는데, '총각무-알타리무'가 들어갔다고 합니다. 옛 어른들은 알타리무, 알타리 김치라고 표현을 하셨던 것 같은데, 잘못된 표현인가요. 어떤가요 A. 표준어로는 '총각무/총각김치'가 표준어 규정 제 22항에 따라 등록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해당 규정에 따르면 그 뜻이 똑같은 형태로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중 어느 한 형태가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요즘에 많이 쓰는 표현으로는 '알타리무-알.. 2023. 6. 6.
우리말 공부 : '담가-담아-담궈, 십상이다-쉽상이다, 점잔 빼다-점잖 빼다, 곤욕-곤혹, 부조-부주' 오늘도 우리말 공부 해 보겠습니다. 말하는 것과 쓰는 것에서 잘못 알고 있는 단어가 뭐가 있을까요. 오늘은 "담가-담아-담궈,십상이다-쉽상이다,점잔 빼다-점잖 빼다,곤욕-곤혹,부조-부주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 담가-담아-담궈' Q. 김장을 담그다 할 때 '담가 - 담아 - 담궈' 라는 단어를 쓸 거 같은데 어떤 것이 맞을까요 A. 정답부터 말씀 드린다면'담가'가 맞다고 합니다. 그래서 '김장 김치를 담가 보려고요.'처럼 씁니다. '담가'의 기본형은 '담그다'이기 때문입니다. '담가'는 '담그'에 어미 '-아'가 연결된 형태입니다. 이때 '그'의 'ㅡ'는 '아'와 연결되며 없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 아'가 '궈'나 '아'가 될 수 없으니 '담궈', '담아'는 잘못된 표현입니.. 2023. 6. 5.
경제뉴스 부동산뉴스 헤드라인뉴스 오늘의 뉴스 간추린뉴스 (6월 5일 월) 23년 6월 5일 월요일, 경제뉴스, 부동산 뉴스, 헤드라인 뉴스, 간추린뉴스 등을 종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저기 있는 내용들을 모아서 전달해 봅니다 경제뉴스 《경 제》 ☞ 자영업자 2명 중 1명 "최저임금 오르면 폐업할 판"...전경련, 자영업자 500명 실태조사...58% "내년 최저임금 동결 , 인하해야"...자영업자 55% "고용 여력 이미 없어 ☞ 세금 먹는 하마된 민자도로...통행료 수입 예상치 대비 절반...국토부 현황보고서 "6곳은 아예 절반 이하.....일부 노선 막대한 MRG 지급" ☞ 축제마다 음식 바가지 요금.....“손님 마음도 음식도 냉기 돌아”...최근 열린 함평나비대축제서 ‘어묵 한 그릇에 1만원’ 논란...지자체 단속 나섰지만 반복...적정 가격 기준도 애매모호..... 2023.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