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우리말 공부 : 반증-방증, 외래어-외국어, 삐까번쩍, 이르다-일르다, 로브스터-랍스터
우리말 공부 꾸준히 해 봅니다. 공부를 매일 같이 해 보시지 않겠습니까.오늘은 "반증-방증, 외래어-외국어, 삐까번쩍, 이르다-일르다, 로브스터-랍스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반증-방증' Q. 반증? 방증? 어떻게 다른 걸까요. 그 뜻을 좀 알려주세요? A. '반증(反證)'과 '방증(傍證)'은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반증(反證)'은 '어떤 사실이나 주장에 반대되는 증거, 혹은 증명하는 일'을 뜻합니다. 이에 반해 '방증(傍證)'은 '어떤 사실에 대한 간접적이고 주변적인 증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본다면 '반증'은 '기존 사건의 결말을 뒤집을만한 반증이 나왔다', '방증'은 '높은 실업률은 고용 불안의 방증입니다.'처럼 쓰이는데 약간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저는 아직도 헷갈립..
2023. 6. 10.
한글 우리말 공부 : 겸연쩍다-계면쩍다, 졸리다-졸립다, 송이-다발, 댓글-덧글, 사인-싸인
외국에서도 한국어 공부가 인기라고 합니다. 우리말 공부 우리가 제일로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은 "겸연쩍다-계면쩍다, 졸리다-졸립다, 송이-다발, 댓글-덧글, 사인-싸인 "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겸연쩍다-계면쩍다 ' Q. 난처하고 곤란할 때 '겸연쩍다 - 계면쩍다' 라는 말을 쓰는데 , 둘 중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 주변에서 겸연쩍다가 맞다 계면쩍다가 맞다 의견이 분분하네요. A. 먼저 답을 알려 드리면 '겸연쩍다/계면쩍다' 둘 다 맞는 표현이라고 하네요. '계면쩍다'는 '겸연쩍다'의 음운이 변하여 된 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현재는 '겸연쩍다'와 '계면쩍다' 그 사용이 많기도 하여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잘못 표기되고 있는 '개면쩍다', '게면쩍..
2023. 6. 9.
경제뉴스 부동산뉴스 헤드라인뉴스 분야별뉴스 간추린뉴스 (6월 9일 금)
23년 6월 9일 금요일, 경제뉴스, 부동산 뉴스, 헤드라인 뉴스, 분야별 뉴스 등을 종합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저기 있는 내용들을 모아서 전달해 봅니다 경제뉴스 《경 제》 ☞ 이정도는 남들도 다하든데 ....성형 수술 보험으로 했다간 전과자 된다...보험사기 수사의뢰 환자 2배 급증 ☞ 일감몰아주기 , 떼어주기 이익, 증여세 신고 , 납부해야...12월 결산법인, 이달 말까지 신고기간 ☞ "소화제 사려면 10km 가야하는데"....규제샌드박스 통과 못하는 '안전상비약 자판기'...국민 요구보다 이권단체 목소리 우선 비판....상비약 제도 10년째 제자리 걸음 ☞ 코로나 전보다 해외여행에 돈 , 시간 더 쓴다...무려 40% 늘어...해외여행 평균 경비 195만원, 여행 기간은 평균 7.1일...전..
2023. 6. 9.
한글 우리말 공부 : '사투리-방언, 떼려야-땔래야, 무례-무뢰, 당기다-땅기다-땡기다, 뒤치다꺼리-뒤치닥거리'
한글 우리말 공부. 오늘도 이어가 보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잘못 알고 있는 단어, 뜻이 달라지는 단어 등 우리말 중에도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사투리-방언, 떼려야-땔래야, 무례-무뢰. 당기다-땅기다-땡기다, 뒤치다꺼리-뒤치닥거리 "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사투리-방언' Q. 사투리와 방언은 뜻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A. 먼저 '사투리'는 어느 한 지방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을 말하고, '방언'은 '사투리'의 개념을 포함하면서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를 이르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사투리'보다 '방언'의 개념이 좀 더 큰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문적으로 언어학에서는 '방언'을 그 자체로..
2023.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