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

한국어 우리말공부 : "덤탱이-덤터기, 코빼기-코배기-콧배기, 영계백숙, 공박-반박-논박, 날름-낼름"

by 뉴스_ 생활정보_ 제공자 2023. 6. 27.
반응형

한국어 우리말공부 이어가봅니다. 일상생활에서 잘못 알고 있는 단어, 헷갈리는 단어들 위주로 정리를 해봅니다. 오늘은 " 덤탱이-덤터기, 코빼기-코배기-콧배기, 영계백숙, 공박-반박-논박, 날름-낼름"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포스터
우리말 공부 포스터

 

 

 

 

 

 

우리말 공부 : '덤탱이-덤터기'

 

Q. '덤탱이-덤터기를 써서 억울하다' 와 같은 표현에서 '덤터기-텀탱이' 무엇이 맞을까요?


A. '덤터기'가 맞습니다. '남에게 넘겨씌우거나, 남에게서 넘겨받은 허물이나 걱정거리',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나타내는 말로 '덤터기'를 씁니다. '덤탱이, 덤테기, 덤태기' 등은 틀린 표기입니다.'덤터기를 씌우다'처럼 쓰시면 되겠습니다

 

 

 

 

우리말 공부 : '코빼기-코배기-콧배기'

 

Q. 코빼기? 코배기? 콧배기? 무엇이 맞을까요?


A. '코빼기'가 맞습니다. '코빼기'는 명사 '코'와 접미사 '빼기'가 결합한 복합어로 '코를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이를 '코배기' 나 '콧배기'를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으나 이는 틀린 표기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6장 제54항에 따라, '뚝배기'처럼 단일어에서 'ㄱ, ㅂ' 받침 뒤에 와 [빼기]로 발음되거나 '진짜배기'처럼 복합어에서 [배기]로 발음될 때는 '배기'라고 적지만 복합어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모두 '빼'’라고 적습니다.

 

 

 

 

 

 

우리말 공부 : '영계백숙'

 

Q. '영계백숙'이란 단어에서 영은 한자어가 아닌 young에서 유래된 것인가요? 어원을 알 수 있을까요?

 

A. '영계(-鷄)'는 '병아리보다 조금 큰 어린 닭', '비교적 나이가 어린 이성의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젊다 어리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그 어원은 young 와는 다르게 '軟鷄'에서 온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연계'에서 '연'이 '영'으로 그 소리가 달라져 원어인 '軟'과의 연관성이 멀어진 상황입니다.

 

 

 

 

우리말 공부 : '공박-반박-논박'

 

Q. '공박, 반박, 논박'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A. 각각의 뜻을 먼저 알아본다면 '공박(攻駁)'은 "남의 잘못을 몹시 따지고 공격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반박(反駁)'은 "어떤 의견, 주장, 논설 따위에 반대하여 말함."이라는 뜻을, '박(論駁)'은 "어떤 주장이나 의견에 대하여 그 잘못된 점을 조리 있게 공격하여 말함."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남의 잘못을 대상으로 하느냐, 의견이나 주장. 논설을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 듯합니다

 

 

 

 

 

 

우리말 공부 : '날름-낼름'

 

Q. 날름? 낼름? 무엇이 맞을까요?


A. '날름'이 맞습니다. "혀를 날름 내밀었다."처럼 씁니다. '날름'의 뜻은 '혀, 손 따위를 날쌔게 내밀었다 들이는 모양', '무엇을 날쌔게 받아가지는 모양'을 뜻하고 있어서 '날름'이 맞는 표기이고 '낼름'은 틀린 표기입니다. 따라서 날름 가져가다', '날름 채가다'로 써야 합니다.

 

 

 


 

오늘도 우리말 공부 재미있게 배우셨나요. 오늘 배운 것은 아니지만, 재미 삼아 퀴즈 한번 풀어보시면서 정리해 보시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