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공부

한국어 우리말공부 : 맞춤법 '배때기-배때지-배대기, 조끼-쪼끼, 머리끄덩이-머리끄댕이, 백주 대낮, 머리 가르마-머리 가름마'

by 뉴스_ 생활정보_ 제공자 2023. 8. 1.
반응형

한국어 우리말 공부, 시작하기에 앞서 퀴즈로  재미있게 풀어보시겠습니까.

 

순 우리말 퀴즈 풀어보기

 

 

한국어 우리말 공부.   한글에서 맞춤법이 헷갈리는 것들에 대한 공부를 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배때기-배때지-배대기, 조끼-쪼끼, 머리끄덩이-머리끄댕이, 백주 대낮, 머리 가르마-머리 가름마'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한국어 우리말 공부 포스터

 

ㅁㅁ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배때기-배때지-배대기'

 

Q. 배때지? 배때기? 배대기? 무엇이 맞을까요?

 


A. '배때기'가 맞습니다. "배때기가 불렀다., 자기 배때기 불릴 생각만 하다가는 큰일 난다."처럼 씁니다. '배'를 속되게 이르는 말인 '배때기'를 '배때지(X)나 배대기(X)'로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으나 이는 틀린 표기입니다. 한글 맞춤법에 따라, 송판때기, 거적때기처럼 씁니다.  배때지(X)는 배때기의 경상 방언으로, 표준어가 아닙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조끼-쪼끼'

 

Q. 조끼? 쪼끼? 무엇이 맞을까요?

 

A. '조끼'가 맞습니다. '조끼'는 일본어 'チョッキ(chokki)'에서 온 말입니다. 종종 쪼끼[쪼끼](X)라고 발음하고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조끼'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이 아니기 때문에 표준 발음에 따라 '조끼[조끼]'라고 쓰고 발음해야 합니다.  일본어에서 왔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네요.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머리끄덩이-머리끄댕이'

 

Q. 머리끄덩이? 머리끄댕이? 무엇이 맞을까요?

 


A. '머리끄덩이'가 맞습니다. "머리끄덩이를 잡고 심하게 싸웠다."처럼 씁니다.  '머리끄덩이'는 머리에 '머리털이나 실 따위의 뭉친 끝이라는 뜻'의 '끄덩이'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따라서 머리끄댕이(X)가 아니라 머리끄덩이로 써야 합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백주 대낮'

 

Q. 흔히 '백주 대낮에 뭐하는 짓들이야?'같은 표현을 쓰곤 하는데, '백주'와 '대낮' 같은 뜻 아닌가요?

 

 

A. 네 맞습니다. '백주(白晝)'와 '대낮'은 동의어입니다. 그러므로 '백주 대낮'과 같이 쓸 필요 없이 "술에 취해 백주에 대로를 활보하다"와 같이 백주를 쓰거나 "대낮부터 웬 술을 그렇게 마시니?" 와 같이 '대낮'을 써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한국어 우리말 공부 : '머리 가르마-머리 가름마'

 

Q. 머리 가르마? 머리 가름마? 무엇이 맞을까요?

 


A. '가르마'가 맞습니다. "2:8 가르마, 가르마 방향을 한번 바꿔 봤어."처럼 씁니다. '머리카락을 양쪽으로 갈랐을 때 생기는 금을 뜻하는 가르마'를 가름마(X)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으나, 이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가름마(X)는 가르마의 방언이며, 표준어가 아닙니다.